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마곡지역 오피스텔 매매가 전망

first.moneytree0022025.com 2025. 7. 26. 13:28

목차



    반응형

    2025년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오피스텔 매매가 전망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대기업 입주, 개발 호재, 우수한 교통 접근성, 그리고 공급 부족에 따른 수요 증가로 뒷받침됩니다. 아래는 마곡지구 오피스텔 매매가 전망과 주요 요인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마곡지구 오피스텔

     

    1. 매매가 상승 전망

    • 대기업 입주 및 개발 호재: 마곡지구는 LG사이언스파크, 롯데케미칼, 코오롱, 제넥신 등 20개 이상의 바이오·R&D 기업이 밀집한 클러스터로 자리 잡았으며, 2024년 말 준공된 원그로브, 케이스퀘어 마곡, 르웨스트 등 대규모 오피스 및 복합시설이 추가로 입주 수요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DL이앤씨, 대한항공 등 대기업의 추가 입주 계획(2025년 하반기 예정)도 지역 내 부동산 가치 상승을 촉진할 전망입니다.
    • 아파트 가격 상승 연동: 마곡지구의 대표 아파트 단지인 마곡엠밸리7단지(전용 114㎡)가 2025년 3월 20억1,000만 원에 신고가 거래를 기록하며, 2013년 분양가(5억 원대) 대비 4배 상승했습니다. 오피스텔 역시 아파트 가격 상승에 따른 간접적 수혜를 받으며 매매가 상승이 예상됩니다.
    • 임대수익률 매력: 마곡지구는 서울 내 오피스텔 중 높은 임대수익률(연 6% 이상)을 기록하며 투자 수요를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4년 기준 강서구 오피스텔은 연 6.01%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이는 서울 평균(5.3%)을 상회했습니다. 현재도 마곡지구의 초역세권 오피스텔은 보증금 1,000만 원에 월세 50~60만 원 수준으로 높은 수익률을 유지합니다.

    2. 공급 부족과 수요 증가

    • 오피스텔 공급 감소: 마곡지구 내 오피스텔 공급은 전체 물량의 약 1%에 불과하며, 2025년 신규 오피스텔 분양 물량은 제한적입니다. 이는 공급 부족으로 인해 임대수익률과 매매가 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큽니다.
    • 트리플 역세권 이점: 마곡지구는 지하철 5호선(마곡역), 9호선·공항철도(마곡나루역) 환승역이 위치한 트리플 역세권으로, 김포공항(10분) 및 여의도(30분)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이러한 교통 인프라는 직장인 및 1~2인 가구의 주거 수요를 강화하며 오피스텔 매매가 상승을 뒷받침합니다.
    • 배후 수요: LG, 롯데, 이랜드, 넥센타이어 등 대기업 입주로 약 4만 명의 종사자와 8만 명의 고용 효과가 예상되며, 이화의료원(1,200병상), 이마트 트레이더스, 코엑스마곡 등 생활·상업 인프라가 풍부해 임대 및 매매 수요가 안정적입니다.

    3. 2025년 실거래가 및 시세 사례

    2025년 6월 23일 기준, 마곡지구 오피스텔의 최근 6개월간 매매가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전용면적 기준 평당가 포함).

    • 마곡중앙로 111: 전용 83.5㎡, 14억5,600만 원(2025년 5월 31일, 평당가 약 5,752만 원).
    • 마곡센트럴대방디엠시티오피스텔: 전용 56.4㎡, 6억 원(2025년 2월 17일, 평당가 약 3,509만 원); 전용 39.97㎡, 3억6,900만 원(2025년 6월 21일).
    • 힐스테이트에코마곡역: 전용 42.4㎡, 3억9,500만 원(2025년 5월 17일, 평당가 약 3,076만 원).
    • 마곡파크뷰대방디엠시티오피스텔: 전용 35.2㎡, 3억2,300만 원(2025년 4월 29일, 평당가 약 3,026만 원).
    • 마곡나루역캐슬파크: 전용 30.0㎡, 3억1,800만 원(2025년 2월 14일, 평당가 약 3,493만 원).
    • 미르웰플러스오피스텔: 전용 34.8㎡, 2억6,500만 원(2024년 12월 17일, 평당가 약 2,516만 원).

    시세 분석: 마곡중앙로 111과 같은 고급·대형 면적 오피스텔은 평당가 5,000만 원 이상으로 프리미엄 단지에 속하며, 소형 오피스텔(20~40㎡)은 평당가 2,500만~3,500만 원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는 강남구 프리미엄 오피스텔(평당가 5,420만~8,762만 원) 대비 낮지만, 서울 평균 대비 높은 수준입니다.

    4. 양극화와 불확실성

    • 단지별 양극화: 마곡지구 내에서도 마곡나루역·마곡역 초역세권 및 신축 오피스텔(예: 마곡중앙로 111, 롯데캐슬 르웨스트)은 높은 매매가 상승률을 보이지만, 비역세권이나 구축 오피스텔은 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아 가격 상승폭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롯데캐슬 르웨스트 논란: 롯데캐슬 르웨스트(876실)는 생활형 숙박시설에서 오피스텔로 용도 변경 과정에서 설계 변경 및 기부채납(토지 370㎡, 전용면적 1,207㎡)으로 분양계약자 반발과 계약 해제 논란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해당 단지의 매매가 안정성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오피스 공실률 증가: 2024년 말 대규모 오피스 빌딩(원그로브, 케이스퀘어 마곡, 르웨스트 등) 공급으로 마곡지구의 오피스 공실률이 상승(2.4% 수준)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오피스텔 임대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대기업 이전 수요로 공실률이 안정화될 전망입니다.

    5. 투자 전망 및 추천

    • 긍정적 요인: 마곡지구는 서울 마지막 대규모 택지지구로, 트리플 역세권, 대기업 입주, 공급 부족, 높은 임대수익률(6% 이상) 등으로 2025년 오피스텔 매매가 상승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마곡나루역 및 마곡역 인근 신축 오피스텔(예: 마곡중앙로 111, 힐스테이트에코마곡역)은 안정적인 수익률과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투자 유의점:
      1. 입지 선별: 마곡나루역·마곡역 초역세권 단지를 우선 고려하되, 비역세권 구축 오피스텔은 수익률이 낮을 수 있으므로 신중히 검토.
      2. 용도 변경 리스크: 롯데캐슬 르웨스트와 같은 단지의 경우 계약 조건 및 설계 변경 사항을 사전에 확인.
      3. 공실률 관리: 오피스 공실률 상승이 임대수익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배후 수요(LG, 롯데 등)를 갖춘 단지를 선택.

    앞으로의 전망

    2025년 마곡지구 오피스텔 매매가는 대기업 입주, 트리플 역세권, 공급 부족으로 상승세가 예상되며, 특히 마곡나루역·마곡역 인근 신축 단지(평당가 3,000만~5,700만 원)는 높은 투자 매력을 보입니다.

     

    다만, 단지별 양극화와 롯데캐슬 르웨스트와 같은 특정 단지의 계약 논란은 투자 시 유의해야 할 점입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yjbobtv@gmail.com | 운영자 : 파스만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