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년취업지원제도 4가지, 2025년 최신정보를 아래에 정리해봤어요.
2025년에는 청년들을 위한 취업지원 제도가 대폭 강화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국민취업지원제도 | 월 50만 원씩 6개월간 지원 + 구직촉진수당 | 최대 300만 원 | 졸업 후 2년 이내, 소득 무관 |
청년도약보장패키지 | 월 60만 원씩 6개월 + 취업성공금 | 최대 860만 원 | 6개월 이상 실업 상태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 월 60만 원씩 6개월 + 직무교육 참여 시 추가 지원 | 최대 720만 원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유형2) | 청년 정규직 채용 시 기업과 근로자에게 각각 지원 | 기업 최대 720만 원, 청년 최대 480만 원 | 빈일자리 업종 기업 채용 시 |
국민취업지원제도는 2025년에도 청년과 저소득층, 경력단절자 등 취업 취약계층을 위한 핵심적인 정부 지원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어요.
아래에 Ⅰ유형과 Ⅱ유형으로 나뉜 제도의 핵심 내용을 정리해드릴게요 👇
대상 | 만 15~69세 저소득층 또는 청년특례 대상자 |
소득 기준 | 중위소득 60% 이하 (청년특례는 120% 이하) |
재산 기준 | 4억 원 이하 |
지원 내용 | 구직촉진수당 월 59.2만 원 × 최대 6개월 (총 331.2만 원) |
추가 혜택 | 취업활동비용, 직업훈련비, 취업성공수당 (최대 50만 원) |
의무사항 | 월 2회 이상 구직활동 필수 (이력서 제출, 면접 등) |
대상 | 소득·재산 기준 없이 취업을 원하는 모든 구직자 |
지원 내용 | 취업상담, 직업훈련, 일자리 정보 제공 |
수당 지급 | 구직활동 시 최대 195만 원의 취업활동지원금 가능 |
특례 대상 | 폐업 자영업자, 특수고용직, 경력단절자 등 포함 |
청년도약보장패키지는 2025년 정부가 새롭게 도입한 청년 맞춤형 통합 지원 제도로, 단순한 취업지원금을 넘어서 취업·주거·금융·건강까지 청년의 삶 전반을 돕는 종합 패키지예요.
특히 장기 실업 상태의 청년에게 실질적인 도약 기회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지원 대상 | 만 18~34세, 6개월 이상 실업 상태 청년 |
기본 지원금 | 월 60만 원 × 6개월 = 총 360만 원 |
취업 성공 시 | 취업성공금 최대 500만 원 추가 지급 |
총 수령 가능 금액 | 최대 860만 원 |
부가 지원 | 주거비 보조, 금융상담, 건강검진 등 생활 안정 서비스 포함 |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은 취업을 준비 중인 청년들에게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총 300만 원을 지원하는 정부 제도예요.
단순한 생활비 지원을 넘어서, 구직활동에 필요한 실질적인 비용과 컨설팅까지 함께 제공되는 점이 특징입니다.
연령 | 만 18세~34세 이하 |
취업 상태 | 미취업자 (고용보험 미가입자) |
학력 조건 | 고교·대학 졸업 또는 중퇴 후 2년 이내 |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
중복 수령 불가 | 국민취업지원제도 등과 동시 수급 불가 |
🎓 대학 재학생은 해당되지 않으며, 졸업 또는 중퇴 후 2년 이내만 신청 가능해요.
지급 금액 | 월 50만 원 × 최대 6개월 = 총 300만 원 |
지급 방식 | 계좌 입금 또는 클린카드 (지정된 사용처만 가능) |
사용 가능 항목 | 자격증 응시료, 교통비, 식비, 면접 정장 대여, 온라인 강의 등 |
사용처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취업 관련 활동에만 사용 가능해요.
이 제도는 단순한 현금 지원이 아니라, 자기주도적인 구직 활동을 돕는 실질적인 정책이에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정부가 청년 고용을 촉진하고 중소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한 제도예요.
특히 취업이 어려운 청년층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기업과, 빈일자리 업종에서 장기근속한 청년에게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Ⅰ유형 | 취업애로청년 채용 기업 | 기업지원금 최대 720만 원 | 청년지원금 없음 |
Ⅱ유형 | 빈일자리 업종 | 기업지원금 최대 720만 원 | 청년지원금 최대 480만 원 |
💡 취업애로청년: 고졸 이하, 4개월 이상 실업 상태,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등
단, 중도 퇴사하거나 6개월 미만 근무 시 지원금 지급 제한될 수 있어요
이 제도는 청년의 장기근속과 기업의 안정적인 고용을 동시에 유도하는 제도입니다.